정보보호 사각지대 해소 위한 ISMS 인증 제도 개선, 무엇이 달라지나
발행일: 2020년 11월 1일 1:25 오후
##### 가상자산(비트코인 등 암호화폐) 사업
2021년 3월 시행되는 ‘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(이하 특금법)’ 개정안을 통해 가상자산 사업자의 법적지위를 부여하고 ISMS 인증획득을 의무화하는 제도적 기반이 마련됐다. 과기정통부는 이를 계기로 금융위원회(금융보안원)과 협업해 가상자산에 특화된 점검항목(지갑, 암호키, 전산원장 관리, 비인가자 이체탐지 등 56개)을 개발하고, 금년 11월부터 공지해 ISMS 인증 심사에 적용하도록 할 예정이다.
<br/>
##### 영세, 중소기업
불필요한 비용 소모 없이 기업 스스로 ISMS 인증을 준비할 수 있도록 ISMS 인증항목절차(102개)를 경량화한 중소기업용 인증체계를 마련해 인증 비용과 소요기간을 단축
<br/>
##### 위/수탁
수탁회사가 ISMS-P 인증을 획득하는 경우 위탁사들의 ISMS-P 인증심사에 부수되는 수탁사의 현장점검을 면제할 예정
<br/>
##### 대학
교육부가 주관하는 정보보호 수준진단에서 ‘우수(80점)’ 등급을 획득한 대학은 ISMS 인증 의무를 면제
www.boannews.com의 본문 읽기